“진짜 위협은 조용히 다가온다.”
다음 팬데믹이 우리나라에 다시는 찾아오지 않기를, 누구보다 간절히 바랍니다.
하지만 만약 그것이 현실이 된다 해도, 우리는 이미 코로나19를 이겨낸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그 소중한 경험을 바탕으로, 언제 어떤 위기가 다시 오더라도 우리는 더욱 강하게, 더욱 지혜롭게 맞설 수 있을 것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는 다시 마스크를 벗고, 자유롭게 여행하며, 학교와 회사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는 조용히 새로운 경고를 내놓았습니다.
지금은 잠잠해 보이지만, 또 다른 위협이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음 팬데믹은, 33개의 병원체 중 하나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단지 경고에 그친 것이 아닙니다. WHO는 그 병원체들을 직접 이름을 붙여가며 전 세계 과학자와 정부에 말합니다.
"이 병원체들을 주시하라. 대비하라."
WHO는 왜 33가지를 지목했는가?
WHO는 2022년부터 감염병 R&D 이니셔티브(R&D Blueprint)를 재정비하며,
이전까지 9가지였던 감염병 감시 리스트를 무려 33가지로 확대했습니다.
목표는 명확합니다.
"다음 팬데믹의 병원체가 무엇이든, 백신과 치료제를 미리 준비하자."
33가지 병원체, 어떤 것들이 포함됐을까?
가장 눈에 띄는 건 에볼라, 니파, 라싸열, 마버그, 코로나 계열, 인플루엔자 등입니다.
또한 "질병 X"라는 미지의 병원체도 여전히 목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분류 병원체 예시 특징
고치사율 바이러스 | 에볼라, 마버그, 니파 | 박쥐 매개, 치사율 30~70% |
---|---|---|
인플루엔자 계열 | H5N1, H7N9 등 | 조류나 돼지에서 사람으로 전파 |
코로나 계열 | MERS, SARS, COVID-19 | 호흡기 전파, 세계적 대유행 경험 |
인수공통 바이러스 | 리프트밸리열, 라싸열 | 설치류·가축·야생동물 통해 전파 |
미지의 병원체 | 질병 X | 아직 발견되지 않은 신종 바이러스 |
‘질병 X’란 무엇인가?
‘질병 X(Disease X)’는 실제로 존재하는 바이러스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신종 병원체가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리키는 경고 코드입니다.
우리는 이미 '질병 X'를 겪은 적이 있습니다.
2019년 말,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했을 때, 그것은 바로 ‘질병 X’였습니다.
왜 지금 이 이야기를 해야 할까?
우리가 일상으로 돌아온 지금,
전문가들은 오히려 위험은 지금부터 시작이라고 말합니다.
- 기후변화 → 모기, 진드기 등 매개체 확산
- 삼림 파괴 → 인간-야생동물 접촉 증가
- 항생제 남용 → 슈퍼박테리아 출현
- 글로벌 이동량 증가 → 감염병 전파 속도 ↑
팬데믹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닙니다.
바이러스는 비행기를 타고 오고, 물류와 함께 전 세계로 퍼집니다.
앞으로 어떤 내용을 다룰 예정인가요?
이 시리즈에서는 WHO가 지정한 33가지 병원체 중 주목할 만한 항목들을 선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소개합니다.
- 어떤 병원체인지
- 어떻게 감염되는지
- 백신·치료제는 있는지
- 한국에 유입될 가능성은?
- 우리가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은?
마무리하며
다음 팬데믹은 "만약"이 아니라 "언제"라는 문제로 바뀌고 있습니다.
WHO는 경고했고, 전문가들은 계속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메시지는 뉴스 속에 묻히고, 사람들의 관심은 떠나버렸습니다.
우리는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준비하지 않으면, 다시 준비되지 않은 고통이 찾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 다음 편 예고
[다음 팬데믹 시리즈] 제2편 – ‘질병 X’는 어떻게 등장하는가?
📌 공식 출처 안내
- WHO R&D Blueprint: Prioritization of Pathogens (2024)
이 문서는 WHO가 2024년에 발표한 병원체 우선순위 지정에 대한 공식 문서로,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병원체 목록과 그 선정 기준을 상세히 다루고 있음.
WHO - WHO Bacterial Priority Pathogens List (2024)
이 문서는 WHO가 2024년에 발표한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우선순위 목록으로, 공중보건에 중요한 세균 병원체들을 다루고 있음.
📝 블로그에 출처 표기 예시
본 글은 WHO의 공식 문서인 Prioritization of Pathogens (2024)와 Bacterial Priority Pathogens List (2024)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참고로 활용할 수 있는 추가 자료
WHO R&D Blueprint 공식 페이지: 팬데믹 대비 연구 개발 전략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
https://www.who.int/activities/prioritizing-diseases-for-research-and-development-in-emergency-contexts - WHO 공식 뉴스룸: 최신 보건 이슈와 관련된 공식 발표 자료 제공
https://www.who.int/news-room
댓글